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조사에 보내는 화환이, 요즘은 지지나 항의 등 의사표현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<br><br>화환 제작업체와 수거업체는 때아닌 특수를 누린다고 합니다. <br> <br>경제카메라, 권갑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인천의 한 프로축구팀이 사용하는 축구연습장과 인천광역시청 앞에 근조화환이 줄지어 서있습니다. <br> <br>팀이 2부 리그로 강등되자 분노한 팬들이 구단주인 인천시장과 관계자들에게 항의하기 위해 화환을 보낸 겁니다. <br><br>대통령실 앞 1km 넘는 도로 양쪽으로 대통령을 응원하는 화환들이 빼곡히 자리잡고 있습니다. <br><br>길가에 늘어선 화환들은 생화 대신 조화로 만들어져 추운 바람을 맞아도 멀쩡합니다. <br> <br>문구도 달라졌는데요. <br> <br>"우리가 지킨다", "화이팅" 등 축하 내용 대신 정치적 메시지로 빼곡합니다.<br><br>과거에는 주로 장례식장, 결혼식장에 화환을 보냈다면 요즘에는 대통령실, 국회, 구치소나 연예인소속사까지 보내는 장소가 다양해졌습니다. <br> <br>[화환 주문자] <br>"지금 용산에 2개나 꽃을 보냈고 동부구치소도 하나 보냈고 그러는데 헌재도 보냈고 다 자발적으로 하는 거예요." <br> <br>최근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국면이 이어지면서 화환 업체들은 때아닌 특수를 맞았습니다. <br> <br>[화환 제작업체 사장 A] <br>"(대통령실) 거기에 천 개 이상 간 것 같은데요." <br> <br>화환이 축하와 위로의 표시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사람을 응원하거나 특정사안에 대한 항의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겁니다. <br> <br>현수막과 집회는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화환은 자유롭게 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대량으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보니 맞춤형 화환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><br>경조사에 쓰이는 화환이 생화를 사용해 가격이 10만 원대에 달하는 반면, 이들 화환들은 조화로 꾸며 3만 원대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.<br> <br>미리 만들어 창고에 넣어두고 주문이 오면 곧바로 배송하는 식입니다. <br> <br>[제작업체 사장 B] <br>"조화죠, 조화. 다 이런거죠 조화. 배송까지 3만 원." <br> <br>그러다보니 꽃의 상태보다는 화환에 적힌 문구가 더 중요해졌습니다. <br> <br>오타가 났다고 항의를 받으면 새로 적은 글귀 띠만 즉각 배송을 보냅니다. <br> <br>[최항섭 /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] <br>"수많은 사람들의 화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의견들을 결집시킬 수 있는 힘이 있다고도 생각을 하고 메시지를 좀 뚜렷하게 전달할 수 (있습니다.)" <br> <br>이런 화환들은 강제로 철거할 수 있는 규정이 없어 오랜 기간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> <br>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시민통행을 불편하게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<br>전문업체가 수거하더라도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고 재활용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 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합니다. <br> <br>[수거업체 관계자] <br>"처리 비용은 개당 2만 원 정도 들어갈 겁니다. 양이 이렇게 많아지면 차량으로 하게 되면 약 30만 원 정도입니다." <br> <br>자신의 의사를 드러내는 방법으로 자리 잡은 화환이 길거리 흉물로 전락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경제카메라, 권갑구입니다. <br> <br>연출 : 박희웅 이유니 <br>구성 : 강전호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